조작적 조건화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으로 어떤 반응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상하므로서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서 선택적 보상이란 강화와 벌을 의미한다.
조작적 조건화는 도구적 조건화, 작동적 조건화라고도 한다.
고전적 조건화처럼 인간의 반사적 행동을 학습을 통해 반사적이지 않고 조건화하였듯이 다른 행동들도 조건화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 이론은 심리학자인 버러스 스키너에 의해 알려졌는데 동물들에게 춤이나 재주, 탁구를 가르쳐서 조작적 조건화의 효과를 입증하여 그 대가를 체계적인 보상으로 전달한다.
조작적 조건화는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와 마케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반응행동은 고전적 조건화에서 사용된 반응고 같이 자극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된 반응으로 동공의 수축이나
무릎의 반사 혹은 침을 흘리는 행동이 이에 속한다. 반면에 조작행동은 어떤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일어나는 행동이나 어떤 자극이 있었다고 하더라고 그것이 알 수 없었던 무엇의 행동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스키너는 외부적 자극에 초점을 맞춘 고전적 조건화를 S형 조건화라고 칭하면서 조작에 조작적 조건화를 R형
조건화라고 구분하기도 했다.
즉 조작행동은 어떤 유기체가 환경에 능동적으로 작용을 가하는 행동을 말하며 조작행동으로 형성되는 조건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하며 유기체가 행하는 조작행동은 결과에 따라 감소하기도 하고 증가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어떤 반응을 감소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을 조작적 조건화인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스키너 상자를 통해 실험되면서 증명됬다. 스키너 상자는 빈 상자 안에 지렛대가 하나 들어있었는데
이 지렛대는 음식통과 연결되어 있어 지렛대를 누르면 음식이 나오도록 되어 있었다. 이 상자를 가지고 조작적 조건형성을
실험했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서 흰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음식에 의해 강화된 것이다. 만약 지렛대를 눌렀는데도 먹이가 나오지 않았다면
누르는 행동을 제대로 학습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게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강화라고 하며 고전적 조건화에서 강화를 조건화의 과정에서 무조건 자극을 얻는 것으로 이름을 얻고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조건화의 과정에서 얻는 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쓴다. 조작적 조건화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강화의 역할이 중요하다.
스키너는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한 결과가 스스로에게 유리하다면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고 생각했다. 이때 그러한 행동의 결과로 주어진 것으로 빈도를 높이는 자극을 강화인이라고 하고 이러한 강화인은 일차적 강화인과 이차적 강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차적 강화인은 유기체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높힐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음식이나 물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는데 즉각적으로 배고픈 유기체에게 음식으로 만족감을 제공하므로써 바로 다음 행동을 높힐 수 있다. 반면 이차적 강화인은 유기체의 행동을 바로 높히지는 못한다. 하지만 일차적 강화인과 연합하여 행동을 높힐 수 있는데, 쿠폰이나 토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즉 쿠폰이나 토큰으로도
유기체를 강화할 수 있지만 그것은 유기체를 직접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강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강화는 어떤 행동을 한 이후에 유기체가 원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의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선호자극의 제공뿐만 아니라 혐오자극의 제거로도 유기체를 강화할 수 있는데, 선호자극의 제공으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정적강화라고 하고 혐오자극의 제거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부적강화라고 한다.
정적강화는 선호자극의 제공으로 유기체를 강화시킨다. 선생님이 학생들의 발표를 유도하기 위해 발표를 할 때마다 추가 점수를 제공하거나 캔디를 하나씩 주는 것은 정적강화의 예가 되며 여기서는 발표라는 행도의 빈도수를 높이기 위해 추가점수나 캔디라는
선호자극을 전달하므로써 학생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반면에 부적강화는 혐오자극의 제거로 유기체를 강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부적강화도 정적강화처럼 결과적으로 유기체가 유리하다고
느끼게끔 하는 것이지만 선호자극을 제공하지 않고 혐오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 강화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화장실 청소를 하도록 되어 있는 아이에게 '오늘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면 화장실 청소를 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이야기하여 아이가 수업에 열심히 참여했다면 화장실 청소라는 혐오자극을 제거함으로써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는 행동을 증가시킨 것이 된다.
조작적 조건화에서 단지 유기체가 하는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어떤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때 혐오자극을 제공하거나 선호자극을 없애므로써 행동의 빈도수를
감소시킨다. 이렇게 행동의 빈도를 높이는데는 강화와 대별되는 것이 벌이라고 할 수 있다.
약화는 유기체의 행동의 결과로 어떤 선호자극을 제거하거나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수여성 벌이라고 하는데, 수여성 벌의 대표적인 예로 체벌을 들 수 있다.
학생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교사가 체벌을 가함으로써 그 행동을 더 이상 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반면에 선호자극을 제거하는 벌은 박탈성 벌이라고 한다. 그동안 받아오던 강화인을 제거한다는 말과 같은데 대표적인 예로
'타임아웃'이 있다. 타임아웃은 어떤 학생이 교실을 시끄럽게 하는 경우, 그학생을 일시적으로 교실 밖으로 추방하는 것이다.
편하게 교실에서 앉아 공부할 기회와 친구들과 함께 있을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은 직접적인 혐오자극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선호자극을 제거하는 박탈성 벌에 해당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넘 효과 (0) | 2024.10.15 |
---|---|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0) | 2024.10.15 |
고전적 조건형성 (2) | 2024.10.14 |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무의식 (0) | 2024.10.13 |
방어기제 각 유형들에 대한 설명 (9) | 2024.10.13 |